일상, 생활

오늘은 '소만' 여름 문턱 앞에서

아라리리요 2025. 5. 21. 11:16
반응형

오늘은 소만입니다.

절기상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
중요한 시점입니다.

소만에 대해 처음 들어보신 분도
있을건데요.

 

🌿 소만(小滿)이란?

소만24절기8번째 절기로, 보통 양력 5월 20일~21일 무렵에 해당합니다. 2025년에는 5월 21일이 소만입니다.


🌾 의미

  • **‘소만’**이라는 말은 **‘조금 찼다’**는 뜻으로, 곡식의 이삭이 조금씩 영글기 시작하는 시기를 말합니다.
  • 농경사회에서는 보리가 익기 시작하고, 모내기 준비를 시작하는 때로 여겼습니다.
  • 이 시기에는 대체로 햇볕이 강해지고, 기온이 올라가며, 초목이 무성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.

🌤️ 기후적 특징

  • 남부 지방에서는 모내기가 시작되고,
  • 장마 전 더운 날씨가 시작되며,
  • 대개 햇빛이 많고 건조한 날이 많지만, 지역에 따라 간간이 비가 오는 경우도 있음.

🍀 소만과 관련된 속담

  • "소만에 씨 뿌리지 말고 논매라"
    → 이 말은 이미 씨를 뿌릴 시기는 지났고, 이제 논을 손질하고 모내기를 준비하라는 의미입니다.

🌸 이 무렵의 자연

  • 보리, , 유채 등이 점점 노랗게 익어가고,
  • 앵두, 매실, 오디 등이 열매를 맺기 시작해요.

🌾 소만의 자연적 특징

  • 보리, 밀 등의 이삭이 익어가는 시기
    → 본격적인 수확철 직전, 농작물의 성장 상태를 점검하게 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.
  • 기온이 급격히 상승
    →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며, 남부 지방에서는 모내기를 시작하기도 합니다.
  • 이슬과 강우 증가
    → 땅속의 수분이 많아져 초목이 무성해지고, 논밭에 물을 대기 시작합니다.

소만과 관련된 음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?

🍚 소만에 먹는 음식

  1. 보리밥
    소만은 보리가 익기 시작하는 시기라, 보리밥을 많이 먹던 때입니다. 보리밥은 영양가가 높고, 예전에는 봄철에 먹는 주요 식사 중 하나였죠.
  2. 나물
    봄에 나는 다양한 봄나물들이 소만과 맞물려 등장합니다. 특히, 냉이, 질경이, 등 봄나물을 따서 나물로 무쳐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. 소만의 나물밥은 봄의 기운을 담은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.
  3. 어리굴젓
    소만 즈음이면 어리굴젓이 제철을 맞이합니다. 이 시기에는 이 많이 나오므로, 을 이용한 어리굴젓이 한국 전통 음식으로 많이 즐겨집니다.


📜 속담과 표현

  • “소만에 새참 먹고 큰만에 논 판다”
    → 소만엔 논일이 시작되고, 큰만(망종)에는 본격적으로 모내기를 한다는 뜻입니다.
  • “소만이 지나야 보리밟기 끝난다”
    → 보리의 생육과 관계된 농사 일정 표현입니다.

“우리 삶도 소만처럼.”
✨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지금 이 순간, 조금씩 차오르고
있으니까요

 
 
오늘 글이 유익하셨거나 도움이 되셨다면
구독, 공감 댓글 나누어요~!
 

반응형